트랜잭션 썸네일형 리스트형 [Database] 트랜잭션의 특성과 격리 수준 [Database] 트랜잭션의 특성과 격리 수준 트랜잭션이란? Transaction(트랜잭션)이랑 무엇일까. 영문 위키피디아는 트랜잭션을 이렇게 설명한다. A database transaction symbolizes a unit of work performed within a DBMS against a database, and treated in a coherent and reliable way independent of other transactions.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을 취합해보면 트랜잭션이란 작업의 단위이며, 일관성 있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, 다른 트랜잭션에 대해 독립적이다, 즉 상호독립적이다 고 설명할 수 있다. 여기서 작업의 단위란 트랜잭션의 정의이며, 일관성이고 신뢰적이며 상호독.. 더보기 [Spring Boot]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롤백 테스트 [Spring Boot]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롤백 테스트 스프링의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, 언제 커밋이 되고 롤백이 되는가. 중요한 것도 알고 개념도 알겠는데 와닿지가 않아서 직접 테스트 후 정리해봤다. Checked vs Unchecked Throwable Exception Checked Exception Unchecked Exception Error 이 포스팅의 목적은 @Transactional이 롤백 수행을 직접 확인해보기 위함이다. 따라서 익셉션의 종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. 결론만 얘기하면 @Transactional로 묶인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Unchecked Exception과 Error가 발생하면 DB 작업 내역을 롤백한다. 별도의 설정을 통해 롤백 기준을.. 더보기 이전 1 다음